유난히 밥 먹고 들끓는 가래, 그 이유는?
본문

(출처: 유토이미지)
밥을 먹고 난 뒤 가래가 끼는 현상은 의외로 많은 사람들이 겪는 증상 중 하나다. 이는 밥을 섭취하면서 입안과 목에 점액이 많이 발생하여 나타나는 일시적인 현상이지만, 너무 자주 반복되거나 식후 시간이 꽤 지나도 유지된다면 호흡기 혹은 소화기 질환이 생긴 것이 아닌지 의심해야 한다. 식후 가래 증상이 지속되는 경우, 다음 질환의 초기 증상일 수 있으므로, 병원을 통한 검진이 권장된다.
1. 역류성식도염
가래의 대표적인 원인 중 하나인 역류성식도염은 위 속 음식물이 위산과 함께 역류하면서 식도에 염증이 발생하는 질환이다. 강력한 위산이 식도로 넘어오는 만큼, 식도는 계속해서 자극을 받게 되며, 동시에 바로 옆에 위치한 기도 또한 영향을 받으면서 가래가 많이 나오게 된다. 역류성식도염의 경우 증상이 악화되면 후두까지 위산이 올라와 기도에 직접적으로 흘려 들어갈 수 있으므로, 식사 후 잦은 가래와 목과 가슴의 답답함이 남아 있다면 역류성식도염을 의심해야 한다.
2. 위염, 비염, 후비루증후군
기도와 호흡기관은 위, 식도와 바로 붙어있기 때문에, 위염, 비염, 후비루증후군 등 다양한 질환이 함께 일어날 수 있다. 후비루증후군은 코와 목에서 분비하는 점액이 밖으로 배출되지 않고 인두에 머물거나 위로 넘어가는 증상으로, 평소 가래를 뱉어도 계속 목에 걸린 느낌이 남아있다면 후비루증후군일 가능성이 높다. 또한 위의 역류성식도염과 함께, 위염, 비염, 후비루증후군은 합병증처럼 동시에 나타날 수 있으므로, 여러 관점에서 모두 검진해 보는 것이 좋다.
3. 폐나 기관지 염증
만성기관지염, 급성기관지염, 기관지확장증과 같이, 폐나 기관지가 계속해서 자극을 받아 예민한 상태에 놓인다면 가래가 끼는 증상이 반복될 수 있다. 검진을 받을 때는 이러한 지속적인 치료가 필요한 질환이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 좋으며, 의사와 함께 주기적으로 상담할 필요가 있다. 만성기관지염, 천식 등이 있다면 평소보다 더 진하고 끈적이는 가래가 생길 수 있으며, 가래를 뱉었을 때 양이 많고 누런색을 띤다면 폐렴, 폐농양, 기관지확장증을 의심해봐야 한다.
이러한 질환이 없다고 하더라도, 평소에 가래가 많이 생긴다면 생활 습관을 개선하여 예방할 수 있다. 너무 뜨겁거나 매운 음식, 기름지고 자극적인 음식의 경우, 식도를 자극하기 때문에 가래가 평소보다 더 많이 생길 수 있고, 패스트푸드나 카페인 음료 역시 역류성식도염을 유발하는 음식으로 알려져 있다. 추가적으로 물을 자주 마시는 것이 좋고, 과식, 야식 등 불규칙한 식습관을 피해야 하며, 음주와 흡연도 줄이는 것이 좋다.
박형빈 기자, hbpark@taxi-news.co.kr
[ⓒ택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자료
-
이전
-
다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