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뉴스

연골 파열, 아프지 않아도 수술 필요할 수 있다

컨텐츠 정보

본문

449b90b7d57cccdcf7ef7d9734f8802e_1740644844_1989.jpg 

 (출처: 유토이미지)


사람은 나이가 들어가면서 당연히 노화가 진행된다. 그러나 확실하게  체감되는 시력, 피부 탄력과 달리, 관절과 연골의 경우에는 눈에 보이지 않는데다가 아프지 않다고 방치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특히 걷는 것과 직관된 무릎 관절 연골의 경우, 연골이 닳게 되면 염증과 통증을 유발하여 삶의 질을 크게 떨어뜨린다. 노화로 인한 퇴행성 관절염은 일반적이지만, 여기에 반월상 연골 파열이 관여할 경우, 퇴행성 관절염을 가속시키게 되는데, 반월상 연골 파열은 무릎 부상 중에서도 가장 흔하고 파열이 되더라도 통증을 느끼지 못하고 걷는 경우가 종종 있어, 알지도 못한 채 병을 방치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중장년, 노년층은 이미 관절 노화가 진행되고 있기에, 외부 충격으로 인해 쉽게 손상을 입는데, 특히 일상생활에서 자주 사용하는 무릎 관절의 반월상 연골 파열은 주의 대상이다. 반월상 연골판은 넓적다리뼈와 정강이뼈 사이 관절면에 위치한 반달 모양 연골판으로, 탄력성이 강해, 무릎 관절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반월상 연골판이 파열되면 뚝 소리와 함께 무릎에 힘이 들어가지 않고 심한 통증을 느끼게 된다. 


특히 양반다리나 계단을 내려갈 때 통증이 더 심해질 수 있는데, 반월상 연골 파열은 방치할 경우 통증이 완화돼 자연 치유가 됐다고 착각하게 만드므로, 한 번 이런 현상을 겪었다면 진단을 받아야 한다. 반월상 연골판은 자연 치유 재생 능력이 없기 때문에, 무릎의 충격을 흡수하는 반월상 연골 특성 상, 이 연골이 파열되면 그대로 무릎 관절이 직접 충격을 받아 위험하다.


통증이 없는 반월상 연골 파열 초기에는 주사, 재활 치료로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지만, 이후에도 통증과 부기가 지속된다면 수술이 필요할 수 있다. 반월상 연골 파열은 관절내시경술을 통해 절개, 봉합하는 것으로 즉각적인 진단과 치료가 가능하다. 또한 관절 주변 구조물에 대한 손상을 최소화하기 때문에 회복 시간이 다른 수술에 비해 빠른 점도 장점이다.


수술로 통증을 완화할 수 있더라도 반월상 연골판은 한 번 손상되면 재생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회복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따라서 부상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평소 신체 활동 전 준비 운동과 함께 근력 운동을 주기적으로 하는 것이 좋으며, 무릎에 가해지는 압력과 충격 분산을 위해 엉덩이, 허벅지, 종아리 등의 하체 근육을 강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운동 뿐 아니라, 운동 이후에도 관절과 근육이 충분히 풀어질 수 있도록 스트레칭을 10분 이상 해야 하며, 체중 관리도 신경 써야 한다. 의료진은 근력 운동과 함께 걷기 운동 역시 무릎 관절에 부담을 주지 않으면서도 하체 근육을 키우는데 도움을 준다고 설명했으며, 그렇다 하더라도 만약 걷기 운동 중에 통증이 느껴진다면 중단하는 것이 좋다고 밝혔다. 앉아 있는 시간이 긴 사무직과 운수종사자의 경우에는 의자에서 무릎을 펴주는 운동을 꾸준히 하여 무릎과 연결된 허벅지 안쪽 근육인 대퇴사두근을 강화하면서 연골 손상을 예방할 수 있다.



박형빈 기자, hbpark@taxi-news.co.kr

[ⓒ택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건강뉴스

공지글


최근글


알림 0